일본이 싫어요
후지티비 특집 프로그램에서 한국 여고생이 " (일본에) 문화가 많아요. 그리고 외국인이 정말 많이 방문해 주는 것 같아요. " 라고 말했다. 그런데 자막에는 " 일본이 싫어요. 왜냐면 한국에 고통을 주었으니까요." 라고 쓰여있다. 평범한 여고생을 이용해 날조를 한다. 왜 이런 짓을 하는 걸까?한국을 지지해줘요
평창 올림픽 유치 비디오에서 김연아가 " 내 꿈을 이루고 다른 이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기회를 준 IOC 위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" 고 말했다. 그런데 아사히TV는 "(IOC 위원들은) 내 꿈을 이루기 위해서 다른 도시보다 한국을 응원해 주길 바란다"는 내용의 날조된 자막을 붙였다. 일본에서도 유명한 김연아의 말을 교묘하게 조작한다.
이건 원전폭발이 아니다.
후쿠시마 1 호기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나는 화면이다. 그런데 방송에서는 전문가들이 나와 <이것은 원자로 내부 압력을 줄이기위해 밸브를 일부러 폭발시킨 것> 이라고 날조했다. 국민을 속이기 위해 뻔히 보이는 것도 날조한다. 은폐 조작 날조는 뿌리깊은 일본의 특성이다.
한국은 법치 국가가 아냐
방송에서 <한국은 법치국가가 아니다> 라고 주장하고 있다. 그러나 얼마전 발표된 2015 세계 법치국가 순위에서 한국 11위에 일본은 13위에 올라있다. 한국을 비하하기 위해 보이는 것마다 날조한다.
축구는 한국이 기원
지상파 민영방송 TBS는 < " 한국에 라이트 형제보다 300년 더 빠른 비행기 기록이 있다, 축구도 한국이 기원이다 " 라고 한국이 주장한다 > 고 거짓 방송을 했다. 국민에게 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닥치는 대로 날조한다.
한국 여행은 자살 행위
bucchinews가 <한국·스페인 여행에 조심> 이라는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날조했다.
" 2020년 도쿄올림픽 결정으로 화가 난 한국인들이 일본 관광객을 해칠 우려가 있다.... 일본인을 습격할지 모른다.... 지금 한국에 여행가는 건 죽으러 가는 것.... 조심하라..."반한 감정으로 국민을 세뇌시키고 한국에 여행가는 것을 막기위해 있지도 않는 사실을 멋대로 조작한다.
한국에서 일본인 사냥
석간후지 신문이 < 한국 경제가 나빠지면서 일본인 사냥이 마구 일어나고 있다. 3, 4명의 젊은이들이 일본인을 찾아 방망이를 들고 거리를 떠돌고 있다.... 치안이 무너지고 있다.... 일본인이 탈출하고 있다...> 고 날조했다. 판타지 만화같은 날조를 서슴없이 한다.
컬트 종교 집단처럼 온나라가 거짓말, 날조를 주댕이에 물고 미쳐 날뛴다. 이들에게 양심이란 것이 있는걸까? 참으로 희한한 싸이코들이다. 왜 이러는 걸까? 국민성에 무슨 문제가 있는건가?
거짓말 날조는 일본인의 특징
한국인들이 아직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을 수백년 전에 알아차린 사람이 있었다. 선교사 로드리게스 rodrigues 는 이미 수백년 전에 일본인을 관찰하고 다음과 같이 특징지었다.
" 일본인은 세상에 보여주기 위해 입에 물고 있는 거짓 마음과,,, 자기만 알고 절대 남에게 보여주지 않는 숨겨진 마음을 갖고 있다 "
![]() |
미얀마 여자 -- 일본인 속마음은 알 수 없다 |
그런데.... 왜 일본에는 이렇게 거짓말 날조 왜곡이 많은 걸까?
"일본인은 죄의 중요성보다 수치의 중요성에 무게를 두고있다. 일본은 수치의 문화이며 치욕을 원동력으로 한다" - - 루스 베네딕트 <국화와 칼>일본인의 정신 세계에는 죄의식이 별로 없다. 즉 도덕률이나 양심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다. 양심에 가책을 크게 느끼지 않기 때문에 아무 거리낌없이 거짓말을 내뱉는다.
일본인은 제대로 속일 수만 있다면(들키지만 않는다면) 거짓말 날조가 잘못된 게 아니라고 생각한다. 오히려 능숙한 거짓말을 훌륭한 재주로 본다. 사회 풍조 자체도 거짓말을 대수롭지않게 받아들인다. 이것이 일본인이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는 이유다.
![]() |
거짓말 잘하는 나라 순위 - 일본 4위 (사실은 세계 1위) |
이런 거짓말 문화 culture of deceit 는 아주 오랜 역사를 갖고있다. 일본에는 " 거짓말도 방편이다. ", " 거짓말도 100번 하면 진실이된다 ", " 진실을 말하면 바보다. 거짓도 진실도 말하지 말라 " 라는 속담이 있다. 이런 거짓말에 관한 속담이 100개가 넘는다. 그만큼 거짓말 풍조가 사회에 널리 퍼져 문화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Ref) 거짓말이 판치는 일본 사회